가로수길 애플스토어에서 자본없는 자본주의를 생각하다.
조나단 하스켈 (Jonathan Haskel)/스티언 웨스트레이크 (Stian Westlake)의 "자본없는 자본주의"를 읽고 나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이 제시한 길을 따르는 방법을 배운 것입니다. 지금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혁신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와 같은 무형 자산을 기반으로하는 회사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산업에서는 지배적인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Airbnb는 플랫폼에 등록 된 많은 숙박시설이 더 가치있게 만듭니다. Uber를 선택하는 이유는 운전자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LinkedIn은 자사 플랫폼의 4억 2천 2백만 명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했기 때문에 Microsoft는 2016년 LinkedIn에 260억 달러를 지불했습니다.
2017년 붉은 바탕의 기업로고를 보면 상위 5개 기업이 TECH 산업군이다. 1967년에는 태어나지도 이름도 없는 기업들로 완전히 바뀌었다. 이들 기업은 무형 자산이 핵심 경쟁력이다.
지난 100 년 동안 유형에서 무형 자산의 기업으로의 가치 이전을 보여주는 이 도표를 보고 있으면 재미있습니다. 1917년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는 US Steel 이었습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는 애플입니다. 아이폰 X는 999 달러에 판매되지만 애플의 주가는 357.50 달러에 불과하지요. iPhone의 주요 가치는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브랜드 이미지입니다. 한국에서도 2018년 1월 27일 애플 스토어가 강남 가로수길에 문을 열었습니다. 영하 17도의 혹한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밤새 줄을 서서 매장 문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고 합니다. 이들이 디자인과 브랜드를 소비하는 애플 메이아들입니다.
조나단 하스켈 (Jonathan Haskel)/스티언 웨스트레이크 (Stian Westlake)의 "자본없는 자본주의"를 읽고 나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이 제시한 길을 따르는 방법을 배운 것입니다. 지금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혁신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와 같은 무형 자산을 기반으로하는 회사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산업에서는 지배적인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Airbnb는 플랫폼에 등록 된 많은 숙박시설이 더 가치있게 만듭니다. Uber를 선택하는 이유는 운전자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LinkedIn은 자사 플랫폼의 4억 2천 2백만 명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했기 때문에 Microsoft는 2016년 LinkedIn에 260억 달러를 지불했습니다.
2017년 붉은 바탕의 기업로고를 보면 상위 5개 기업이 TECH 산업군이다. 1967년에는 태어나지도 이름도 없는 기업들로 완전히 바뀌었다. 이들 기업은 무형 자산이 핵심 경쟁력이다.
지난 100 년 동안 유형에서 무형 자산의 기업으로의 가치 이전을 보여주는 이 도표를 보고 있으면 재미있습니다. 1917년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는 US Steel 이었습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회사는 애플입니다. 아이폰 X는 999 달러에 판매되지만 애플의 주가는 357.50 달러에 불과하지요. iPhone의 주요 가치는 디자인, 소프트웨어 및 브랜드 이미지입니다. 한국에서도 2018년 1월 27일 애플 스토어가 강남 가로수길에 문을 열었습니다. 영하 17도의 혹한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밤새 줄을 서서 매장 문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고 합니다. 이들이 디자인과 브랜드를 소비하는 애플 메이아들입니다.
'명작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 전령 LOS HERALDOS NEGROS, 남미 시인 세사르 바예호 CÉSAR VALLEJO (1) | 2024.12.13 |
---|---|
(가 볼 만한 전시회) 에드워드 호퍼 길위에서 2023.04.20~ 08.20 (2) | 2023.04.07 |
페다고지50주년 기념판 (0) | 2023.04.06 |
<달과 6펜스 The Moon and Sixpence> 2018년 10월 첫주 독서 토론 (0) | 2018.10.10 |
헤밍웨이의 대표작 <노인과 바다> 독서토론 (1) | 2018.09.22 |